기타

[기타] 비만세포(mast cell) 지방세포(fat cell, adipocyte) 연관성, 차이점 , 비만세포증

정보처리마법사 2016. 2. 27. 13:54
반응형

[기타] 비만세포(mast cell) 지방세포(fat cell, adipocyte) 연관성, 차이점

비만세포(mast cell)

천식, 고초열, 아토피성 습진 등의 즉시형 알레르기반응을 유발하는 세포.

골수전구세포에서 인터류킨작용으로 분화, 성숙하지만, 분화도의 차이와 형태적, 약리학적 차이에 따라 혈관 주위에

많은 결합조직내 비만세포(CTMC)와 기생충 감염으로 증가하여 T세포의존성인 점막내 비만세포(MMC)로 구분한다.


두 형태의 비만세포 모두가 막 표면에 IgE의 고친화성 Fcε수용체(수: CTMCMMC)가 있으며 히스타민 등을 함유하

는 과립(수: CTMCMMC)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세포의 탈과립반응은 Fcε수용체에 결합한 IgE가 항원에서 가

교하여 그것에 따라 수용체끼리 응집한다. 혹은 수용체를 직접 가교하면 일어난다. Fcε수용체의 가교 외에도 아나필라

톡신인 보체성분분절 C3a나 C5a, 화학물질의 칼슘이온운반체, compound 48/80 등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탈과립에 의해 과립에 저장되어 있던 히스타민, 키나아제 등의 단백질분해효소, 헤파린, 화학주성인자와 같이 아라키돈

에서 새롭게 합성된 화학전달물질프로스타글란딘이나 류코트리엔(주산물은 PGD2LTC4)을 생산, 방출한다. 이

들에 의해 폐의 기관지 수축이나 점막부종, 분비항진의 알레르기증상이 일어난다. 천식억제제인 크로모글리코산나트륨

CTMC의 탈과립만을 억제하여 MMC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비만세포 [mast cell, 肥滿細胞]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결합조직에 넓게 분포하지만, 특히 혈관주위에 많다. 방추형()의 세포에 소형의 원형핵을 가진다. 세포질에는 염

기성 색소에 대해서 이조(調) 염색성을 나타내는 과립이 다수 포함되어져 있다. 과립은 헤파린과 히스타민외에, 세로

토닌을 포함한다. 과립중의 물질은 화학적 기계적인 자극()이나 알레르기독 등에 의해 방출된다. 헤파린 혈액의 응

고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고 히스타민에는 혈관의 확장이나 투과성을 높이는 작용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비만세포 [mast cell, 肥滿細胞, Mastzelle]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비만세포증

 

비만세포증(Mastocytosis)은 비만세포가 비정상적으로 피부, 골수, 그리고 간, 비장 그리고 림프절과 같은 내부 장기에

축적되는 희귀 질환입니다.

 

출처: 희귀난치성질환 정보

영국의 한 연구에서 전신성 비만세포증의 발생률은 한 해 동안 30만명 중 2명의 빈도를 보였습니다.

[비만세포]
비만 세포는 알레르기의 주요인이 되는 면역 세포입니다. 비만 세포의 표면에는 IgE 형태의 항체가 붙을 수 있는 표면

인자가 있습니다. 기질에 붙은 후 비교적 바로 떨어지는 다른 항체와 달리 IgE는 비만 세포에 붙으면 거의 떨어지지 않

습니다. 이 때, IgE에 붙는 물질(즉, 알레르겐)이 인체 내로 들어와서 IgE와 결합을 하게 되면, 그 IgE와 결합하고 있는

비만 세포가 활성화됩니다. 이렇게 활성화된 비만 세포는 신경 전달 물질인 히스타민(Histamine)을 외부로 분비하여 알

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킵니다.



비만세포증이 성인기에 시작되는 환자들의 경우 피부뿐만 아니라 신체 내부 장기에 영향을 주는 반면에 어린시절에 질

환이 시작되는 경우 피부에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신체 장기에는 아주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거나 장기에 영향을 주

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만일 이 질환의 증상이 골수 또는 신체 내부 장기에 나타난다면 이 질환을 “전신 비만세포증

(Systemic mastocytosis)”이라고 부릅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의 경우 천천히 진행되는 경향을 보이며 진단 시 혈액 질환들이 동반되어 발견되기도 합니다. 비만세포

증은 남성과 여성에게 동일한 비율로 나타나며, 소아기-발병 형태의 비만세포증은 주로 2세경에 시작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비만세포증 [Mastocytosis] (희귀난치성질환 정보,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질환센터)

 

 

 지방세포(fat cell)

지방조직의 구성 성분으로 조직 사이에도 산재하지만, 혈관의 주행에 따른 집단으로서 지방조직을 구성하는 주요한 세

포. 내부에 지방 성분이 들어 있다. 지방세포는 백색과 갈색으로 구분된다. 백색지방세포는 전신에 골고루 분포하는데

부위에 따라 대사 특성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복강내 지방은 피하지방에 비하면 쉽게 분해된다. 신경지

는 없다. 갈색 지방세포는 견갑골간, 경부, 흉복부의 대혈관 근처 등에 존재한다.


미토콘드리아가 많고, 이 내막에는 갈색지방에 특이적인 탈공역단백질이 존재하며, 교감신경에 의해 지배된다. 내부의

지방이 커지면 점점 융합하여 세포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며, 고유의 세포질은 주변으로 밀려나서 초승달모양이 된다.

이 세포의 유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섬유아세포 또는 그와 유사한 세포로 추측하고 있으며, 체내 에너지저장원의 역

할을 한다. 에너지저장과 동원은 지방의 생산과 분해의 형태로 이 세포에서 활발하게 일어나고, 과잉 에너지는 트리아

실글리세롤의 형태로 지방세포 내에 축적된다.


이러한 반응은 기질의 농도 외에 여러 가지 호르몬에 의한 조절된다. 인슐린은 합성 촉진에 작용하고, 아드레날린, 부신

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글루카곤,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 세크레틴, 갑상선호르몬, 지방동원인자, 옥시토신, 부갑상샘호르몬 등은 분

해촉진(지방동원)에 작용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지방세포 [fat cell, 脂肪細胞]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비만세포와 지방세포의 연관성 및 차이점

이름은 비슷하지만 비만세포와 지방세포와는 관계가 없는 세포이다.

비만세포는 알레르기나 면역계에 작용하는 세포이고

지방세포는 흔히 알고있는 지방덩어리 이다.

 

 


Fin.


잘 못 된 정보가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1초도 걸리지 않는 공감버튼 클릭은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