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ty C# 클래스 정의에서 콜론(:) 이해하기
Unity C# 개발에서 문법과 기호의 이해는 효율적이고 가독성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클래스 정의 시 사용되는 기호 중 하나인 콜론(:)은 상속과 생성자 체이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간단하고 깔끔한 예제를 통해 이러한 개념들을 명확히 설명하겠습니다.
1. 상속
콜론은 클래스가 기반 클래스로부터 메소드, 속성 및 기타 멤버를 상속받을 때 사용됩니다. 이는 코드 재사용과 다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칙입니다.
public class Character { | |
public void Move() { | |
// 이동 로직 | |
} | |
} | |
public class Knight : Character { | |
// Character로부터 Move() 상속 | |
} |
이 예제에서 'Knight'는 'Character'로부터 상속받으며, 이는 콜론을 사용하여 표시됩니다. 'Knight'클래스는 이제 'Character'에 정의된 'Move'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생성자 체이닝
콜론은 또한 생성자 체이닝에 사용되며, 이는 같은 클래스 내의 다른 생성자를 호출('this' 사용) 하거나 기반 클래스 생성자를 호출('base' 사용)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ublic class Character { | |
protected float health; | |
public Character(float health) { | |
this.health = health; | |
} | |
} | |
public class Knight : Character { | |
private float armor; | |
public Knight(float health, float armor) : base(health) { | |
this.armor = armor; | |
} | |
} |
여기서 'Knight' 생성자는 ': base(health)'를 사용하여 'Character' 클래스의 생성자를 'health' 매개변수와 함께 호출합니다. 이 예제는 생성자 체이닝을 통해 파생 클래스와 그 기반 클래스를 특정 값으로 초기화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결론
Unity C# 클래스 정의에서 콜론(:)은 상속과 생성자 체이닝을 나타내는 강력한 기호입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개발자는 자신의 Unity 프로젝트에서 더욱 조직적이고 확장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코드를 생상할 수 있습니다.
두더지게임: 리마스터 무료 게임쿠폰
두더지게임: 리마스터 무료 게임쿠폰 "여러분 공짜 쿠폰입니두더지!!"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만 됩니두더지! 애플 앱스토어는 정책상 안됩니두더지! 10만골드 2024 20만골드 새해복 30만골드 가족 4
ssscool.tistory.com
[무료게임쿠폰] 두더지게임: 리그 오브 두더지
[무료게임쿠폰] 두더지게임: 리그 오브 두더지 구글플레이스토어 쿠폰사용 O, 앱스토어 쿠폰사용 X (앱스토어 정책상) 10만골드 가족 20만골드 건강 30만골드 자유 40만골드 행복하자 50만골드 아프
ssscool.tistory.com
[무료게임쿠폰] 방구키우기: 리그 오브 방구 타이밍 배틀
[무료게임쿠폰] 방구키우기: 리그 오브 방구 타이밍 배틀 구글플레이스토어 쿠폰사용 O, 앱스토어 쿠폰사용 X (앱스토어 정책상) 2022년 07월 29일 이후 업데이트버전 v.1.200.78 이후 버전으로 업데이
ssscool.tistory.com
[무료게임쿠폰] 뽑기 키우기: 리그 오브 뽑기
[무료게임쿠폰] 뽑기 키우기: 리그 오브 뽑기 다이아 100개 쿠폰 테슬라 다이아 200개 쿠폰 건강 다이아 300개 쿠폰 부자 다이아 400개 쿠폰 행복 다이아 600개 쿠폰 자유 다이아 700개 쿠폰 휴식 다이
ssscool.tistory.com
똥 피하기: 리그 오브 똥 - Google Play 앱
이 재미있는 가족 친화적인 게임에서 똥을 피하세요! 깨끗하게 유지하며 즐기세요!
play.google.com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와 C# 기초: 게임 개발을 위한 한정자 간단 정리 Unity and C# Essentials: Simplifying Modifiers for Game Development (1) | 2024.02.27 |
---|---|
유니티 C# 열거형 네이밍 관례 Unity C# Enum Naming Conventions (0) | 2024.02.26 |
UnityEvent, UnityAction, Action(.NET)에 관하여 (0) | 2024.02.22 |
Destroy와 DestroyImmediate의 차이 (0) | 2024.02.22 |
Rigidbody2D의 velocity를 Vector2.zero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zero가 안 먹히는 현상 (0) | 2024.02.21 |